728x90 SMALL 📇 사설,칼럼.zip4 [칼럼] 언론위기와 솔루션 저널리즘 객관주의 저널리즘과 그 한계 누군가 당신(독자)에게 “바람직한 저널리즘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했을 때, 당신은 무엇이라고 답할 것인가? 아마 대부분은 ‘객관적’인 저널리즘이라고 답할 것이다. 그럼 다시 한 번 질문을 해보자. “객관적이란 것은 무엇인가?” 그럼 아마 이렇게 답할 것이다. “어떤 한 쪽에 치우치지 않고, 중립적인 입장으로 최대한 주관을 배제한 무언가”라고 말이다. 이제 독자들이 아닌 기자들에게 질문을 해보자. “당신은 지금 객관적으로 기사를 작성하고 있습니까?” 대부분의 기자들은 “그렇다”라고 답할 것이다. 그렇다면 이들의 기사는 정말 ‘객관적’이라고 할 수 있을까? 세상에 절대적으로 객관적이란 것이 존재할 수 있을까? 저널리즘이 정파성의 탈을 벗고 객관주의 탈을 집어든 것은 ‘언론의 .. 2023. 8. 4. [칼럼] 왜 요즘 소설, 드라마는 다 똑같아 보이지? 왜 최근의 문화 콘텐츠들은 다 비슷한 것 같은 느낌이 들까? 최근 영화나 콘텐츠를 보면, 어딘가 비슷한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 특히, 한 장르 안에서 어떤 ‘소재’나 ‘스토리 라인’이 대중들에게 좋은 반응을 이끌어내면, 그와 유사한 느낌이 드는, 이 ‘소재’나 ‘스토리 라인’을 기반으로 하는 창작물들이 우후죽순으로 쏟아진다. 이는 문화산업의 내재적 특성인 ‘고위험성’ 때문에 위험성을 줄이고자 하는 필연적인 시장의 움직임이라고 볼 수 있다. 꽤나 흥미로운 것은 이런 움직임이 특정 영역에 국한되지 않고, 전 문화적인 영역에서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전반적으로 콘텐츠들간의 유사성이 높아지게 되면, 대중들은 점점 이들은 ‘예술’이 아닌, ‘상품’으로 인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음악에서 특정한 .. 2023. 8. 4. [사설] 딥페이크 기술과 AI - 다소 어두울 수 있는 이야기 특이한 인간의 특성은 결코 기계에 의해 모방될 수 없다는 말은 일반적으로 위안이된다. 나는 그런 위안을 줄 수 없다. 그런 한계는 정해질 수 없다고 믿기 때문이다. - 앨런 튜링 - 딥페이크(deepfake)란? 딥페이크(deepfake, 딥 러닝(deep learning)과 가짜(fake)의 혼성어)는 인공 지능을 기반으로 한 인간 이미지 합성 기술이다.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라는 기계 학습 기술을 사용하여, 기존의 사진이나 영상을 원본이 되는 사진이나 영상에 겹쳐서 만들어낸다. 딥페이크는 영화나 방송계 등에서 이미 사망하거나 나이가 든 배우를 스크린에 되살리거나 초상권 보호 등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한편, 유명인의 가짜 섹스 동영상이나 가짜 리벤지 포르노, 가짜 뉴스나 악의적 사기를 만드는 데.. 2023. 8. 4. [사설] 양회동 분신사건을 통해 살펴본 가짜뉴스 🗞 가 건설노동자 고 양회동씨가 분신할 당시 옆에 있던 노조 간부가 ‘막지도 불을 끄지도 않았다’고 보도하자, 보수 성향 시민단체가 이 간부를 ‘자살방조’ 혐의로 고발했다. 하지만 이 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은 해당 간부는 양씨의 극단 선택을 만류한 것으로 조사됐다며 조선일보 보도를 일축했다. 강릉경찰서 관계자는 17일 오전 와 한 통화에서 “기사가 나왔지만 자살방조죄 등으로 입건하거나 한 것은 없다. 아직 사건이 결론 나지는 않았지만, 현재까지는 변사 사건으로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양씨가) 바로 불을 지른 게 아니고 주위에 시너를 뿌려둔 뒤 동료가 왔을 때도 라이터를 든 채 ‘가까이 오지 마라. 여기 시너 뿌려놨다’고 경고해 가까이 다가가지도 못하는 그런 상황이었다. 괜히 다가갔다가 자극받은.. 2023. 6. 15. 이전 1 다음 728x90 LIST